도서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서비스 안내
저희 도서관에서는 연구와 학습을 더욱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AI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학술 활동에 도움이 될 AI 도구와 데이터베이스를 소개합니다.
AI 추천 도구 목록
AI 기반 논문 검색 서비스
연구 질문을 입력하면, AI가 신뢰할 수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답변을 제공합니다. 관련성이 높은 출처 5개를 이용하여 요약된 답변을 작성하고, 출처를 함께 제공합니다.
로그인 후 개인화 서비스 이용 가능(월별 이용 건수 제한). AI 검색, 논문·과제 작성 아이디어 제공, AI Viewer를 통한 빠른 논문 내용 파악 및 AI 채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AI-Helper로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결과에 대한 문장 분류 기반 AI 요약 서비스와 AI-Reviewer를 통한 논문 리뷰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개인 회원가입 필요)
전문 분야별 AI 서비스
옥스포드 영문 사전 AI 검색 기능으로 사전 필터링된 고급 검색 결과를 제공하며, 결과 페이지 URL을 통해 검색 결과를 조작하고 필터링할 수 있습니다.
프롬프트 입력 시 관련성 높은 10개의 콘텐츠와 AI 생성 요약을 제공합니다. 한국어 질문도 자동 번역되어 처리됩니다.
검색어 입력 시 관련 내용에 대한 자체 요약과 문장별 출처를 제공하며, 재시도, 검색 내용 추천, 큐레이션된 콘텐츠를 추천합니다.
특허 검색을 위한 WIPSON AI

WIPSON AI 검색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도서관 홈페이지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안내사항을 확인 후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유사문헌 자동 추출
입력한 문장만으로 유사한 특허 문헌을 자동으로 추출하고 차트 필터를 제공합니다.
자동번역 기능
외국어 한국어 검색이 가능하여 언어 장벽 없이 특허 정보를 탐색할 수 있습니다.
기술분야 한정 검색
WIPO 기술분류를 활용하여 특정 기술분야로 한정하여 검색할 수 있습니다.
논문 작성 시 생성형 AI 활용에 관한 주요 출판사의 가이드라인을 확인하세요. (2025년 4월 기준)
엘스비어(Elsevier)
생성형 AI 정책(저널)에서는 AI 도구 사용 시 투명성 확보, 저자의 책임, 저작권 및 인용 관련 지침을 제공합니다.
Springer Nature
논문 작성 과정에서 AI 도구 사용 시 방법론 섹션에 명시해야 하며, AI가 공동저자로 인정되지 않는 등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합니다.
Wiley
AI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최종 결과물에 대한 책임은 저자에게 있음을 강조하는 윤리적 지침을 제공합니다.
IEEE & Physical Review
IEEE와 Physical Review는 각각 AI 도구 사용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과 윤리적 고려사항을 제시합니다.
다양한 AI 활용 도구와 사이트를 한곳에서 탐색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연구, 글쓰기,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목적별 AI 도구를 찾을 수 있습니다.
업로드한 문서나 정보 소스를 분석하여 브리핑 문서, FAQ, 오디오 요약 등 다양한 형태로 내용을 재구성해주는 도구입니다.
국가별 AI 규제 현황
연구와 학술 활동에 AI를 활용할 때 참고해야 할 각국의 AI 규제 현황입니다. (2025년 4월 기준)
한국 AI 기본법
2025년 1월 21일 제정, 2026년 1월 22일부터 시행 예정입니다. 인공지능 개발과 활용에 관한 기본 원칙과 국가 책무를 규정합니다.
EU AI Act
유럽 최초의 포괄적 AI 규제 프레임워크로, 위험 기반 접근법을 채택하여 AI 시스템을 위험도에 따라 분류하고 규제합니다.
중국 AI 규제
생성형 인공지능 서비스 관리 임시 조치와 인터넷 정보 서비스 딥 합성 관리 규정을 통해 AI 서비스를 규제합니다.
입법 진행중인 국가별 AI 규제
미국
대통령 행정명령(2023년 10월)과 NIST AI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주(State) 단위에서도 다양한 규제가 논의 중입니다.
캐나다
인공지능 및 데이터 법(AIDA)을 포함한 디지털 헌장 이행법(Bill C-27)의 입법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각국의 AI 규제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최신 정보를 정기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I 활용 시 고려사항
  • 연구 과정에서 AI 사용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기
  • AI가 제공하는 정보의 정확성을 반드시 검증하기
  • 최종 결과물에 대한 책임은 연구자에게 있음을 인지하기
  • 저작권 및 개인정보 보호 규정 준수하기
학술 연구에서의 바람직한 AI 활용
  • 문헌 검토 및 데이터 분석 보조 도구로 활용
  • 아이디어 발상 및 연구 방향 탐색에 참고
  • 초안 작성 및 문장 교정 지원 도구로 활용
  • AI 활용 범위와 한계를 명확히 인식
포항공과대학교 박태준학술정보관
주소: 37666 경상북도 포항시 남구 지곡로 77 (지곡동)
전화: 054)279-2900
copyright(c) 2025 Tae-Joon Park Digital Library All rights reserved.
Made with